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축구, 월드컵 파워랭킹 11위! 아시아 최강 등극

by 뮤즈크롬1 2025. 9. 12.
반응형

출처:대한축구협회

목차

  1. 한국 축구, 북중미 월드컵 파워랭킹 11위 기록
  2. 일본 제치고 아시아 1위 등극
  3. 랭킹 상승 배경: 미국·멕시코전 성과
  4. 홍명보 감독의 리빌딩 효과
  5. 손흥민의 MLS 이적이 가져온 긍정적 변화
  6. 아시아 국가들의 순위 변화
  7. 세계 톱10과 한국의 경쟁력
  8. 결론: 한국 축구, 세계 무대에서의 존재감

 

1. 한국 축구, 북중미 월드컵 파워랭킹 11위 기록

2025년 9월, 글로벌 축구 매체 골닷컴이 발표한 파워랭킹에 따르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2026 북중미 월드컵 파워랭킹에서 전체 1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6월 발표 당시 13위에서 두 계단 상승한 결과이며,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순위입니다.

이번 랭킹은 월드컵 본선 진출이 확정된 18개국과 FIFA 랭킹 상위 16개국을 대상으로 경기력, 전력, 최근 성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산정되었습니다.

2. 일본 제치고 아시아 1위 등극

한국은 이번 랭킹에서 일본(12위)을 제치고 아시아 1위에 올랐습니다. 지난 6월에는 일본이 10위, 한국이 13위였지만, 9월 A매치에서의 성과가 반영되며 순위가 뒤바뀌었습니다.

일본은 멕시코와 0-0 무승부, 미국에 0-2 패배를 기록하며 평가가 하락했고, 한국은 미국을 2-0으로 꺾고 멕시코와 2-2로 비기며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출처:대한축구협회 인스타그램

3. 랭킹 상승 배경: 미국·멕시코전 성과

한국 대표팀은 9월 미국 테네시주에서 열린 평가전에서 미국을 2-0으로 완파, 멕시코와는 2-2 무승부를 기록했습니다. 손흥민, 이강인, 오현규 등 핵심 선수들이 고르게 활약하며 팀의 전술적 완성도를 보여줬습니다.

특히 손흥민은 2골 1도움으로 맹활약하며, MLS 이적 이후 체력적 부담이 줄어든 덕분에 대표팀에서 더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4. 홍명보 감독의 리빌딩 효과

홍명보 감독은 2023 아시안컵 준결승 탈락 이후 대표팀을 재정비하며 세대교체에 착수했습니다. 클린스만 감독 체제에서 흔들리던 팀을 안정적으로 재건했고, 현재는 무패 행진(6승 4무)으로 아시아 3차 예선을 통과했습니다.

젊은 선수들과 베테랑의 조화를 통해 전술적 다양성과 경기력의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출처:대한축구협회 인스타그램

5. 손흥민의 MLS 이적이 가져온 긍정적 변화

손흥민은 최근 LAFC로 이적하며 MLS에서 활약 중입니다. 골닷컴은 “EPL보다 체력적으로 덜 부담스러운 무대에서 뛰는 건 대표팀에 긍정적인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손흥민은 북중미 원정에서의 경기에서 뛰어난 컨디션을 유지하며 팀의 공격을 이끌었습니다. 이는 대표팀의 경기력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6. 아시아 국가들의 순위 변화

  • 🇯🇵 일본: 10위 → 12위 (2계단 하락)
  • 🇦🇺 호주: 17위 → 21위 (4계단 하락)
  • 🇮🇷 이란: 15위 → 22위 (7계단 하락)
  • 🇺🇿 우즈베키스탄: 19위 → 25위
  • 🇯🇴 요르단: 20위 → 26위

아시아 국가 중 순위가 상승한 팀은 한국이 유일하며, 이는 대표팀의 꾸준한 성과와 전략적 운영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7. 세계 톱10과 한국의 경쟁력

이번 파워랭킹에서 세계 톱10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국가
1 스페인
2 아르헨티나
3 잉글랜드
4 포르투갈
5 프랑스
6 독일
7 네덜란드
8 브라질
9 모로코
10 에콰도르

한국은 이들 강호 바로 뒤인 11위에 위치하며, 세계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23위), 멕시코(18위)보다 높은 순위라는 점에서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서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8. 결론: 한국 축구, 세계 무대에서의 존재감

한국 축구는 이제 아시아를 넘어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춘 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홍명보 감독의 리더십, 손흥민의 활약, 젊은 선수들의 성장 등이 어우러지며 파워랭킹 11위라는 성과를 만들어냈습니다.

2026 북중미 월드컵까지 약 9개월. 한국 축구는 이제 ‘도전자’가 아닌 ‘경쟁자’로서 세계 무대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