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드풋볼 선정! 아시아 축구를 빛낸 역대 최고 선수 TOP 18 완전 분석

by 뮤즈크롬1 2025. 8. 17.
반응형

 목차

  1. 선정 배경 및 매드풋볼 소개
  2. TOP 3: 한국 축구의 위대한 유산
  3. 주요 순위 분석: 일본, 이란, 사우디의 존재감
  4. 올타임 베스트 11 공개
  5. 국가별 선수 분포 및 특징
  6. 한국 선수들의 국제적 위상

1️⃣ 선정 배경 및 매드풋볼 소개

2025년 8월, 축구 콘텐츠 전문 매체 매드풋볼(Mad Football)은 아시아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18인을 선정해 발표했습니다. 이 순위는 단순한 인기 투표가 아닌, 선수들의 커리어 성취, 국제무대 영향력, 클럽 및 대표팀에서의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인듯 합니다.

  • 선정 기준(예상): 국제 대회 성적, 유럽 무대 활약, 대표팀 기여도, 역사적 상징성
  • 발표 일자: 2025년 8월 13일
  • 총 인원: 18명
  • 포맷: 개인 순위 + 올타임 베스트 11

2️⃣ TOP 3: 한국 축구의 위대한 유산

 1위: 차범근

  • 별명: 갈색 폭격기
  • 주요 업적:
    • 아시아 선수 최초 UEFA컵 우승 (1980)
    • UEFA컵 결승 득점 (1988)
    • 분데스리가 통산 98골
    • A매치 136경기 58골
  • 평가: 아시아 축구의 개척자이자 유럽 무대에서 성공한 최초의 아시아 선수2

 2위: 손흥민

  • 소속: 로스앤젤레스FC (2025 기준)
  • 주요 업적:
    • 프리미어리그 득점왕 (2021)
    • 푸스카스상 수상
    • 유로파리그 우승
    • A매치 134경기 51골
  • 평가: 현대 축구에서 가장 성공한 아시아 공격수3

 3위: 박지성

  • 주요 업적:
    • 월드컵 3개 대회 연속골
    • 2002 한일월드컵 4강 주역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입단 및 챔피언스리그 우승
    • A매치 125경기 15골
  • 평가: 아시아 선수 최초로 유럽 빅클럽에서 핵심 역할 수행4

이른바 ‘손·차·박’ 트리오는 세대별로 비교되며, 한국 축구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3️⃣ 주요 순위 분석: 일본, 이란, 사우디의 존재감

순위선수명국적주요 업적
4위 혼다 케이스케 일본 월드컵 3회 출전, 유럽 무대 활약
5위 파울리노 알칸타라 필리핀/스페인 바르셀로나 전설, 369골
6위 나카타 히데토시 일본 세리에A 활약, 월드컵 3회 출전
7위 김주성 한국 1980~90년대 대표 공격수
8위 가가와 신지 일본 도르트문트, 맨유 활약
9위 알리 다에이 이란 A매치 109골, 세계 최다 득점자 기록 보유
10위 마흐다비키아 이란 독일 함부르크 활약
11위 가마모토 구니시게 일본 일본 사커리그 최다 득점
12위 사미 알자베르 사우디 월드컵 4회 출전
13위 홍명보 한국 월드컵 4강 주역, 리베로
14위 김민재 한국 바이에른 뮌헨 주전 수비수
15위 자바드 네쿠남 이란 이란 대표팀 주장
16~18위 나카무라 슌스케, 나가토모 유토, 미우라 카즈요시 일본 다양한 유럽 및 J리그 활약

4️⃣ 올타임 베스트 11 공개

매드풋볼은 순위 발표 다음 날, 아시아 선수들로 구성된 올타임 베스트 11도 공개했습니다3.

 포메이션: 3-4-3

  • 공격진: 손흥민, 차범근, 파울리노 알칸타라
  • 미드필드: 가가와 신지, 혼다 케이스케, 나카타 히데토시, 박지성
  • 수비진: 나가토모 유토, 홍명보, 김민재
  • 골키퍼: 나세르 헤자지 (이란)

한국 선수는 총 5명으로 일본(4명)을 앞질렀습니다. 이는 질적 우위에서 한국 축구가 아시아를 선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국가별 선수 분포 및 특징

국가선정 인원주요 특징
일본 7명 다양한 포지션, 유럽 진출 활발
한국 6명 TOP 3 독식, 베스트 11 최다
이란 3명 공격수 중심, 유럽 무대 경험
사우디아라비아 1명 월드컵 출전 경험 풍부
필리핀/스페인 1명 역사적 상징성 (알칸타라)

중국은 단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아 현지 언론에서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6️⃣ 한국 선수들의 국제적 위상

한국은 이번 선정에서 질적·양적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 TOP 3 독식: 차범근, 손흥민, 박지성
  • 베스트 11 최다 배출: 5명
  • 현역 선수 포함: 김민재, 손흥민
  • 역사적 상징성: 차범근, 박지성

이는 한국 축구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 무대에서 얼마나 큰 영향력을 발휘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반응형